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입주자 모집 / 9월16일~18일 접수

반응형


□ 대중교통이 편리하고 살기 좋은 직주근접 역세권에서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이 첫 입주자 모집에 나선다.

□ 서울시는 충정로역 인근(499실 *공공 49실, 민간 450실)과 강변역 인근(84실 *공공 18실, 민간 66실) 역세권 청년주택 583실에 대한 입주자 모집을 9월16일(월)~18일(수) 실시한다고 밝혔다. 실제 입주는 '20년 1월~2월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가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절차 간소화, 건설자금 지원 등을 제공하면 민간사업자가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에 주거면적 100%를 입대주택(공공‧민간)으로 지어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에게 우선 공급하는 정책이다. 서민‧청년층에 공적임대주택 24만호 공급을 목표로 시가 작년 초 발표한 「공적임대주택 5개년('18.~'22.) 공급계획」의 하나로 추진 중이다.

□ 서울시는 이번 첫 입주자 모집을 시작으로 올 하반기 총 5개 지역 2,112실에 대한 입주자를 모집한다는 계획이다.


  ○ 나머지 3개 지역은 ▴서교동(합정역 인근) 1,121실 ▴용답동(장한평역 인근) 170실 ▴숭인동(동묘앞역 인근) 238실이다.

[입주대상 및 임대료 수준]


□ 이번에 입주자를 모집하는 충정로역‧강변역 역세권 청년주택의 공급물량은 전용면적 16~35㎡이다. 이 중 시가 직접 공급하는 공공임대 67실은 주변시세의 30% 수준의 임대보증금과 임대료로, 입주자모집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3인 가구) 100% 이하로 높은 임대료 때문에 주거난에 시달리는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등에게 공급된다.


 ■ 공공임대주택 임대료(강변역)

공급

규모

()

신청대상

임대조건

전환구분

최대전환시

임대조건

임대보증금(천원)

월임대료

()

계약금

(20%)

잔금

(80%)

보증금

(천원)

임대료

()

16

(원룸형)

대학생 계층

21,320

4,264

17,056

90,000

(+)

30,320

45,000

(-)

10,660

125,500

청년계층

22,580

4,516

18,064

100,000

(+)

32,580

50,000

(-)

11,290

137,600

32A

신혼부부

계층

35,400

7,080

28,320

140,000

(+)

49,400

70,000

(-)

17,700

199,000

32B

(셰어형)

청년

계층

셰어형()

17,720

3,544

14,176

70,000

(+)

24,720

35,000

셰어형()

(-)

8,860

99,500


■ 공공임대주택 임대료(충정로역)

신청

유형

()

신청자격

임대조건

전환구분

최대전환시

임대조건

임대보증금(천원)

월임대료

()

계약금

(20%)

잔금

(80%)

보증금

(천원)

임대료

()

16

(원룸형)

대학생 계층

16,560

3,312

13,248

70,000

(+)

23,560

35,000

(-)

8,280

97,600

17

(원룸형)

청년 계층

19,120

3,824

15,296

80,000

(+)

27,120

40,000

(-)

9,560

111,800

35A

신혼부부 계층

40,360

8,072

32,288

160,000

(+)

56,360

80,000

(-)

20,180

227,200

35B

40,920

8,184

32,736

160,000

(+)

56,920

80,000

(-)

20,460

228,200


□ 민간이 공급하는 516실 중 약 20%에 해당하는 103실은 주변시세의 85% 수준에서 특별공급된다. 공공임대에 비해 임대료가 높아지는 점을 감안하여 추가로 임대보증금 무이자 융자 등 별도의 주거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는 나머지 민간공급(일반공급) 분에 대해서도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임을 감안해 사업자와 협약을 통해 주변시세의 95% 수준의 임대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충정로역 인근에 추진되는 사업은 정책시행 초기에 시범사업으로 추진되어 민간공급분에 대해 특별/일반공급 구분 없이 시세의 90% 이하로 공급된다. 

[입주자격]


□ 역세권 청년주택의 입주자 자격은 크게 연령기준, 소득기준, 자산기준으로 나뉜다. ▴연령기준은 입주자모집 공고일 현재 만19세~39세 이하 ▴소득기준은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 평균소득(3인 가구) 120% 이하에서 순위별로 차등을 둔다. ▴자산기준은 공공임대와 특별공급에 대해서만 두고 있으며 공공주택 입주자 보유 자산 관련 업무처리기준(국토부고시)을 준용해 '19년의 경우 각각 대학생 7,500만 원 이하, 청년 2억 3,200만 원, 신혼부부 2억 8,000만 원 이하여야 한다. 다만, 민간임대주택 중 일반공급은 소득과 자산기준이 따로 없다.

구분

공공임대

민간임대

특별공급

일반공급

입주대상

대학생, 청년, (예비)신혼부부

청년(대학생 포함), (예비)신혼부부

청년, (예비)신혼부부

연령기준

공고일 기준 만 1939세 이하

공고일 기준 만 1939세 이하

공고일 기준 만 1939세 이하

소득기준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 평균소득 (3인 가구)100% 이하

-1순위(50%이하): 2,701천원(2,161천원)

-2순위(70%이하): 3,781천원(2,701천원))

-3순위(100%이하): 5,401천원(3,781천원)

( )안은 청년 본인 소득기준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 평균소득 (3인 가구)120% 이하

-1순위: 50% 이하(2,701천원)

-2순위: 100% 이하(5,401천원)

-3순위: 120% 이하(6,481천원)

 

-

자산기준1)

-대학생: 본인 자산 7,500만원 이하

-청년: 본인(세대주는 세대) 23,200만원 이하

-신혼부부: 해당세대 28,000만원 이하

-청년(대학생 포함):

해당세대 23,200만원 이하

-신혼부부:

해당세대 28,000만원 이하

-

지역기준

-1순위: 건설주택이 위치하는 해당자치구 거주,재학,재직자

-2순위: 해당자치구 외 자치구에 거주,재학,재직자

-3순위: 서울 외 지역 거주,재학,재직자

좌동

-

 1) 공공주택 입주자 보유자산 관련 업무처리 기준 준용(국토교통부 고시)

 ※ 경쟁시 입주자 선정 순서: 소득순위 → 지역순위 → 추첨

□ 한편, 역세권청년주택 입주자격 중 특별한 부분은 계층에 상관없이 입주대상 모두 자동차를 보유하지 않고 타인의 차량도 직접 운행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다만, 생계용과 장애가 있는 입주자의 장애인 차량의 경우와 일부 이륜차(125cc 이하)의 경우 예외를 두고 있다.

[입주자 선정]


□ 공공임대와 특별공급 입주자 선정은 기준에 부합하는 신청자들 중 소득에 따라 우선순위를 주고 소득순위가 같은 대상끼리 경합시에는 2차로 지역순위를 따져 입주건물이 소재한 해당 자치구에 거주, 재학, 재직하는 대상자들이 우선하여 입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소득과 지역순위가 동일한 경우는 추첨으로 선정한다.


[공급일정]


□ 청약신청은 9.16.(월)~9.18(수) 동안 인터넷 신청 또는 3호선 대청역에 있는 SH공사를 방문해 신청 할 수 있다.

□ 서류심사 통과자 결과 발표는 10.4.(금), 최종 당첨자 발표는 12.30.(월), 입주는 구의동의 경우 내년 1월, 충정로의 경우 내년 2월부터 가능하다. 단지배치도와 평면도 및 자세한 신청일정, 인터넷 청약방법 등 입주자집공고 관련 자세한 사항은 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http://www.i-sh.co.kr)와 서울시 홈페이지 ‘청년주택’ 관련사이트(http://news.seoul.go.kr/citybuild/archives)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문의는 서울주택도시공사 콜센터(☎1600-3456)를 통해 상담이 가능하다.


"본 저작물은 '서울특별시'에서 '2019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3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http://www.seoul.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