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3월 28일(목) 전남(고흥)과 경남(밀양)을「스마트팜 혁신밸리(이하 혁신밸리)」2차 조성 지역으로 선정하고, 청년농업인 창업보육과 기술혁신의 거점으로 육성한다고 밝혔다.
ㅇ 농식품부는 지난해 4월 ‘스마트팜 확산방안’을 통해 2022년까지 전국에 혁신밸리 4개소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밝혔고 '18년 1차 공모에서는 경북(상주)와 전북(김제)이 선정되었다.
ㅇ 올해 2차 공모(1.8~3.8) 결과 5개 시・도가 응모하였으며,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의 3단계(서면→현장→대면) 평가를 통해 2개 시・도를 대상지로 확정하였다.
ㅇ 농식품부는 지자체의 사업추진 여건, 추진 의지, 운영계획의 구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으며 특히 계획의 실현가능성, 지역 가용자원을 활용한 차별 모델 등을 중점 평가하였다.
□ 혁신밸리는 스마트팜에 청년인력 양성, 기술혁신 등의 기능을 집약시켜 농업과 전후방 산업의 동반 성장을 도모하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농산업 클러스터이다.
ㅇ 혁신밸리에는 청년 교육과 취・창업을 지원하는 창업보육센터, 초기 투자부담 없이 적정 임대료만 내고 스마트팜에 도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임대형 스마트팜, 기업과 연구기관이 기술을 개발하고 시험해보는 실증단지가 핵심 시설*로 조성된다.(~’21년)
* ’19년 예산 : 기반조성(210억), 보육센터(122), 임대형팜(164), 실증단지(192)
ㅇ 이와 함께 산지유통시설, 농촌 주거여건 개선 등과 관련한 농식품부 또는 지자체 자체 사업을 연계하여 농산물 유통과 청년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할 계획이다.
□ 이번에 선정된 두 지역은 혁신밸리 조성 취지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계획의 실현가능성, 구체성과 타당성, 지역 자원 활용을 통한 차별성 등에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 향후 농식품부는 중앙단위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농업계의 의견을 반영하고 혁신밸리 추진전략과 방향을 조율해 나갈 계획이다.
ㅇ 농식품부는 지자체가 제출한 예비계획을 보완하여 금년 8월까지 지역별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며, 내년 초부터 핵심시설(보육센터, 임대농장, 실증단지)이 착공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공모 과정에서 지자체, 농업인, 지역주민 등의 관심과 열기를 확인했고, 스마트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고 생각하며 이후 스마트팜 조기확산의 원동력을 계속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ㅇ 아울러, “현장 농업인들이 스마트팜을 체감할 수 있도록 컨설팅*과 농가단위 보급**을 지속 확대해 나가고, 축산·노지 등 농업 전분야로 스마트 모델을 발굴하고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농업인 ICT 활용역량 강화를 위한 현장실습형 교육
** 관수, 관비, 환경관리 시스템 등 원예시설 현대화 지원
"본 저작물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2019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시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저 치료용 인간 항체 후보 개발 (0) | 2019.03.29 |
---|---|
경기도 광역체납팀, 4월 한 달 동안 고액체납자 100여명 집중 가택수색 (0) | 2019.03.29 |
붙박이장 등 친환경 건축자재 성능·안전성 점검 (0) | 2019.03.29 |
제100회 전국체육대회·제39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홈페이지 오픈 (0) | 2019.03.27 |
사립유치원 에듀파인 1단계 의무도입 99.6% (0) | 2019.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