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한국폴리텍대학 2022학년도 신입생 6,870명 모집 / 수시1차 접수 : 9.10~10.4

반응형

 

국민의 직업능력개발산업인력 양성을 위해 설립된 한국폴리텍대학(이사장 조재희, 이하 폴리텍)은 9월10일부터 2022학년도 2년제학위과정 신입생모집한다. 수시1차 전형에서 대학별 정원의 최대 85%까지 선발한다.

 

<2022학년도 원서접수 일정>

모집전형 원서접수 기간
수시1 2021.09.10.()~2021.10.04.()
수시2 2021.11.08.()~2021.11.22.()
정시 2021.12.30.()~2022.01.12.()

 

모집 개요

 

전국 28개 캠퍼스 158개 학과에서 6,870을 선발할 예정이다. 수시1차 모집기간은 910일부터 104일까지, 자세한 사항은 폴리텍 입시누리집(ipsi.kopo.ac.kr) 온라인 입시박람회(www.kopoexpo.com)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공지능(AI), 핀테크, 빅데이터 신기술 분야, 반도체, 바이오 국가기간전략산업 분야, 금형, 용접, 산업설비 등 꾸준히 인력수요가 예상되는 전통 뿌리기술 분야까지 유망 기술 분야 20계열에서 예비 기술인재 모집한다. 졸업생은 실습 중심 교육과정거쳐 전문학사에 준하는 산업학사 학위를 받는다.

 

대 학 캠퍼스 학 과 구 분 모집인원
총계 정원내
(일반+특별)
정원외
대학 서울정수 소계   600 500 100
대학 서울정수 그린에너지설비 주간 72 60 12
대학 서울정수 메카트로닉스 주간 72 60 12
대학 서울정수 스마트정보통신 주간 72 60 12
대학 서울정수 시각디자인 주간 72 60 12
대학 서울정수 자동차 주간 72 60 12
대학 서울정수 자동차 야간 30 25 5
대학 서울정수 전기 주간 72 60 12
대학 서울정수 기계시스템디자인 주간 108 90 18
대학 서울정수 인공지능SW 주간 30 25 5
대학 서울강서 소계   306 255 51
대학 서울강서 패션디자인 주간 72 60 12
대학 서울강서 데이터분석 주간 36 30 6
대학 서울강서 디지털콘텐츠 주간 72 60 12
대학 서울강서 의료정보 주간 36 30 6
대학 서울강서 주얼리디자인 주간 60 50 10
대학 서울강서 정보보안 주간 30 25 5
대학 성남 소계   426 355 71
대학 성남 융합기계 주간 72 60 12
대학 성남 반도체소재응용 주간 72 60 12
대학 성남 스마트기계정비 주간 36 30 6
대학 성남 AI자동화 주간 72 60 12
대학 성남 스마트전기 주간 72 60 12
대학 성남 스마트전기 야간 30 25 5
대학 성남 IoT소프트웨어 주간 72 60 12
대학 제주 소계   30 25 5
대학 제주 소프트웨어융합디자인 주간 30 25 5

 

대 학 캠퍼스 학 과 구 분 모집인원
총계 정원내
(일반+특별)
정원외
대학 인천 소계   996 830 166
대학 인천 AI융합소프트웨어 주간 72 60 12
대학 인천 건축설계 주간 72 60 12
대학 인천 스마트금형 주간 66 55 11
대학 인천 지능기계시스템 주간 72 60 12
대학 인천 메카트로닉스 주간 96 80 16
대학 인천 방송미디어 주간 72 60 12
대학 인천 산업디자인 주간 72 60 12
대학 인천 산업설비자동화 주간 108 90 18
대학 인천 산업설비자동화 야간 30 25 5
대학 인천 스마트재료 주간 60 50 10
대학 인천 자동차 주간 72 60 12
대학 인천 자동차 야간 30 25 5
대학 인천 전기에너지시스템 주간 72 60 12
대학 인천 AI정보통신 주간 72 60 12
대학 인천 AI정보통신 야간 30 25 5
대학 남인천 소계   30 25 5
대학 남인천 스마트표면처리 주간 30 25 5

 

대 학 캠퍼스 학 과 구 분 모집인원
총계 정원내
(일반+특별)
정원외
대학 춘천 소계   150 125 25
대학 춘천 미디어콘텐츠 주간 30 25 5
대학 춘천 산업설비 주간 30 25 5
대학 춘천 산업디자인 주간 30 25 5
대학 춘천 전기 주간 60 50 10
대학 원주 소계   60 50 10
대학 원주 의료공학 주간 30 25 5
대학 원주 컴퓨터응용기계 주간 30 25 5
대학 강릉 소계   72 60 12
대학 강릉 발전설비 주간 36 30 6
대학 강릉 산업잠수 주간 36 30 6

 

대 학 캠퍼스 학 과 구 분 모집인원
총계 정원내
(일반+특별)
정원외
대학 대전 소계   456 380 76
대학 대전 기계시스템 주간 72 60 12
대학 대전 녹색산업설비 주간 72 60 12
대학 대전 스마트자동화 주간 66 55 11
대학 대전 스마트소프트웨어 주간 36 30 6
대학 대전 영상디자인 주간 36 30 6
대학 대전 전기전자제어 주간 72 60 12
대학 대전 전기전자제어 야간 30 25 5
대학 대전 AI융합 주간 72 60 12
대학 청주 소계   390 325 65
대학 청주 메카트로닉스 주간 72 60 12
대학 청주 반도체시스템 주간 72 60 12
대학 청주 스마트팩토리ICT융합 주간 72 60 12
대학 청주 전기에너지 주간 72 60 12
대학 청주 전기에너지 야간 30 25 5
대학 청주 컴퓨터응용기계 주간 72 60 12
대학 아산 소계   270 225 45
대학 아산 메카트로닉스 주간 30 25 5
대학 아산 반도체디스플레이 주간 36 30 6
대학 아산 방송미디어 주간 36 30 6
대학 아산 산업설비자동화 주간 36 30 6
대학 아산 시각디자인 주간 36 30 6
대학 아산 자동차융합기계 주간 36 30 6
대학 아산 정보통신시스템 주간 60 50 10
대학 홍성 소계   126 105 21
대학 홍성 스마트융합설비 주간 30 25 5
대학 홍성 AI자동화시스템 주간 30 25 5
대학 홍성 전기 주간 36 30 6
대학 홍성 기계설비보전 주간 30 25 5

 

대 학 캠퍼스 학 과 구 분 모집인원
총계 정원내
(일반+특별)
정원외
대학 광주 소계   462 385 77
대학 광주 그린건축 주간 36 30 6
대학 광주 그린에너지설비 주간 36 30 6
대학 광주 기계시스템 주간 72 60 12
대학 광주 스마트전기자동차 주간 36 30 6
대학 광주 신소재응용 주간 30 25 5
대학 광주 스마트팩토리 주간 72 60 12
대학 광주 전기 주간 72 60 12
대학 광주 전자 주간 72 60 12
대학 광주 AI융합 주간 36 30 6
대학 전북 소계   288 240 48
대학 전북 기계시스템 주간 72 60 12
대학 전북 AI로봇자동화 주간 36 30 6
대학 전북 산업설비자동화 주간 72 60 12
대학 전북 스마트전기 주간 72 60 12
대학 전북 스마트IoT 주간 36 30 6
대학 전남 소계   120 100 20
대학 전남 발전설비 주간 30 25 5
대학 전남 산업설비자동화 주간 30 25 5
대학 전남 전기 주간 30 25 5
대학 전남 기계시스템 주간 30 25 5
대학 익산 소계   60 50 10
대학 익산 나노측정 주간 30 25 5
대학 익산 컴퓨터응용기계 주간 30 25 5

 

대 학 캠퍼스 학 과 구 분 모집인원
총계 정원내
(일반+특별)
정원외
대학 대구 소계   324 270 54
대학 대구 스마트제품디자인 주간 36 30 6
대학 대구 산업설비자동화 주간 72 60 12
대학 대구 스마트전기 주간 72 60 12
대학 대구 스마트전자 주간 36 30 6
대학 대구 신소재응용 주간 36 30 6
대학 대구 융합기계 주간 72 60 12
대학 구미 소계   282 235 47
대학 구미 AI소프트웨어 주간 30 25 5
대학 구미 기계시스템 주간 72 60 12
대학 구미 AI전자 주간 36 30 6
대학 구미 자동화시스템 주간 72 60 12
대학 구미 전기 주간 72 60 12
대학 영주 소계   30 25 5
대학 영주 AI융합전자 주간 30 25 5
대학 영남융합기술 소계   180 150 30
대학 영남융합기술 3D프린팅융합디자인 주간 36 30 6
대학 영남융합기술 메카트로닉스 주간 36 30 6
대학 영남융합기술 스마트패션디자인 주간 72 60 12
대학 영남융합기술 스마트패션소재 주간 36 30 6

 

대 학 캠퍼스 학 과 구 분 모집인원
총계 정원내
(일반+특별)
정원외
대학 창원 소계   714 595 119
대학 창원 기계시스템 야간 30 25 5
대학 창원 기계시스템 주간 72 60 12
대학 창원 메카트로닉스 주간 72 60 12
대학 창원 메카트로닉스 야간 30 25 5
대학 창원 산업설비자동화 주간 72 60 12
대학 창원 금형가공시스템 주간 60 50 10
대학 창원 스마트전기 주간 36 30 6
대학 창원 스마트전자 주간 36 30 6
대학 창원 스마트팩토리 주간 72 60 12
대학 창원 스마트환경시스템 주간 36 30 6
대학 창원 신소재응용 주간 36 30 6
대학 창원 자동차 주간 72 60 12
대학 창원 컴퓨터응용기계설계 주간 60 50 10
대학 창원 컴퓨터응용기계설계 야간 30 25 5
대학 부산 소계   462 385 77
대학 부산 IT융합제어 주간 36 30 6
대학 부산 금형디자인 주간 36 30 6
대학 부산 기계시스템 주간 72 60 12
대학 부산 자동제어시스템 주간 72 60 12
대학 부산 스마트전자 주간 72 60 12
대학 부산 자동차 주간 72 60 12
대학 부산 전기 주간 72 60 12
대학 부산 전기 야간 30 25 5
대학 울산 소계   390 325 65
대학 울산 에너지산업설비 주간 72 60 12
대학 울산 스마트제어 주간 36 30 6
대학 울산 신소재응용 주간 36 30 6
대학 울산 자동화시스템 주간 72 60 12
대학 울산 전기 주간 72 60 12
대학 울산 전기 야간 30 25 5
대학 울산 기계 주간 72 60 12

 

대 학 캠퍼스 학 과 구 분 모집인원
총계 정원내
(일반+특별)
정원외
특성화대학 바이오 소계   216 180 36
특성화대학 바이오 바이오나노소재 주간 36 30 6
특성화대학 바이오 바이오배양공정 주간 36 30 6
특성화대학 바이오 바이오생명정보 주간 36 30 6
특성화대학 바이오 바이오식품분석 주간 36 30 6
특성화대학 바이오 바이오의약분석 주간 36 30 6
특성화대학 바이오 바이오품질관리 주간 36 30 6
특성화대학 항공 소계   288 240 48
특성화대학 항공 항공기계 주간 72 60 12
특성화대학 항공 항공메카트로닉스 주간 72 60 12
특성화대학 항공 항공전기전자정비 주간 72 60 12
특성화대학 항공 항공정비 주간 72 60 12
특성화대학 반도체융합 소계   396 330 66
특성화대학 반도체융합 반도체공정장비 주간 60 50 10
특성화대학 반도체융합 반도체설계 주간 60 50 10
특성화대학 반도체융합 반도체융합SW 주간 60 50 10
특성화대학 반도체융합 반도체장비설계 주간 60 50 10
특성화대학 반도체융합 반도체전기시스템 주간 60 50 10
특성화대학 반도체융합 반도체품질측정 주간 60 50 10
특성화대학 반도체융합 영상그래픽 주간 36 30 6
특성화대학 로봇 소계   120 100 20
특성화대학 로봇 로봇IT 주간 30 25 5
특성화대학 로봇 로봇기계 주간 30 25 5
특성화대학 로봇 로봇자동화 주간 30 25 5
특성화대학 로봇 로봇전자 주간 30 25 5

 

AI 분야 : 3개 학과 신설, AI교육 운영

 

폴리텍은 최근 ‘AI+x’ 인재 양성집중하고 있다. 인공지능기술(AI)모든 산업기술(x)결합기술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AI+x 인재 양성위해 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 AI융합과 등을 신설하고, 전 재학생을 대상으로 AI 교육과정을 개설했다.

 

(신설학과) 서울정수캠퍼스 인공지능소프트웨어(SW)25명을 선발한다. 빅데이터분석, 데이터분석준전문가(ADsP), SQL개발자 자격취득을 통해 인공지능기반 제조업, 시스템통합(SI) 분야와 영상 및 음성인식 인공지능서비스 분야 취업을 목표로 한다.

 

(신설학과) 대전캠퍼스 AI융합과지능형사물인터넷(AIoT) 특성화 전공 신입생 60을 선발한다. 인공지능개론을 시작으로 AIoT 설계제작운용이 가능한 현장실무 인재를 양성한다.

 

(신설학과) 광주캠퍼스 AI융합과 인공지능모델링 특성화 전공 신입생 30을 선발한다. 파이썬(Python)프로그래밍, AI플랫폼 운영 실무, 기업연계 프로젝트실습을 거쳐 머신러닝, 딥러닝 분야 등으로 진출한다.

 

(AI교육과정) 폴리텍 재학생들은 전공무관 수준별 AI 교육을 이수한다. 정보통신기술(ICT) 전공자 대상으로는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머신러닝 알고리즘 실습 등 심화교육, 기타 전공자 대상으로는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인공지능 친화교육을 실시하는 투 트랙(Two-Track) 방식으로 진행한다.

 

IT 분야

 

(신설학과) 서울강서캠퍼스 정보보안과신입생 25 모집한다. 디지털 경제 전환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더 주목받고 있는 정보보안산업 관련 학과다. 최근 389.7% 취업률을 기록한 대졸자 대상 고급 정보보안 기술교육과정의 수준을 조정, 고등학교 졸업생소프트웨어 코딩 기초부터 시작해 보안전문가성장할 기회를 제공하는 2년제 학위과정개설했다.

 

반도체 분야

 

지난해 출범한 경기도 안성 소재 반도체융합캠퍼스는 전국에서 유일한 반도체 특화 대학이다. 캠퍼스는 201981.3% 취업률을 기록했다. 올해 정부가 발표한 ‘K-반도체 전략중심에 위치해 이 분야 산업 성장인력 수요를 예측한 지원자들의 입학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청주캠퍼스 반도체시스템과는 지능형 반도체 설계, 반도체 공정장비 유지보수 특화 교육과정을 운영해 취업률 84.5%를 달성했다. 지난해 신설된 남인천캠퍼스 스마트표면처리과반도체 표면처리특화 인력을 양성한다.

 

대학 강점

 

대한민국 대표 직업기술교육대학에 걸맞는 취업률, 교수진, 학비 혜택, 교육시설을 갖추고 있다.

 

(취업률) 올해 2월 졸업생 취업률8월 셋째 주 자체 집계 기준으로 67.7%을 기록했다. 취업유지율은 90.3%에 달했다. 2019년 대학정보공시 기준 취업률일반대학 64.4%, 전문대학 70.9%, 폴리텍 80.3%로 지속되는 코로나19인한 취업률 감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취업률을 기록했다.

 

(교수진) 이론실무를 겸비한 현장 경력 교수진직업기술교육대학 폴리텍 대표적인 강점이다. 대한민국 명장, 기능장, 국내외 굴지 기업에서 실무경험을 쌓은 교원들이 산업 현장요구에 맞는 실무중심 수업을 진행한다.

 

(등록금) 한 학기당 130만 원 내외경제적인 등록금은 입학 예정자들이 고려해야만 하는 현실적인 혜택이다. 덧붙여, 성적 우수 등 내부장학금을 비롯한 장학재단과 기업 등의 외부 장학금까지 폭넓은 학비 지원 제도를 운용한다. 2020년 기준 재학생 80.4% 장학금 혜택을 받았다.

 

(교육시설) 폴리텍을 대표하는 전 공정 원스톱 통합실습 시설현장형 공동실습장(러닝팩토리)* 활용해 시제품 제작, 프로젝트 실습을 진행하면서 재학생들은 졸업 후 바로 활용할 수 있는현장 기술 실무능력을 습득할 수 있다. 현재 40를 구축했고, 연내 19추가 구축할 계획이다.

* 제품 설계부터 시제품 제작까지 생산 전 공정에 대한 통합 실습이 가능하도록 생산설비를 갖춘 교육훈련시설

 

지원 자격

 

(전형소개) 입학정원의 70% 이내로 선발하는 일반전형은 고등학교 졸업(예정)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고등학교 전 학년, 전 과목 성적반영한다.

 

‘6개월 이상 산업체경력자’,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자’, ‘일반계고 전문계반 졸업(예정)등은 특별전형에 지원할 수 있다.

 

25세 이상 지원자’, ‘전문대학 이상 졸업(예정)’, ‘산업체 근무경력 2년 이상 경력자등은 정원외전형(정원 외 20% 선발)에 지원이 가능하다.

 

(중복지원) 폴리텍은 여타 대학의 합격 및 등록에 관계없이 별도로 지원가능하고, 전국 폴리텍 캠퍼스 최대 8곳까지 동시 지원할 수 있다. 캠퍼스별 입학전형 계획에 따라 ‘2지망 학과지원제를 활용하면 지원자들은 다양한 전공에 지원할 수 있다.

 

[’22 입시 변경 사항 (해외 고교 졸업자, 검정고시 합격자 지원 자격)]

 

공공 직업기술교육 접근성향상시키고, 입학전형의 형평성확보하기 위한 ’22학년도 주요 입시 변경 사항발표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해외에서 학업 지속이 어려운 해외 고교 출신 지원자*검정고시 또는 수능 성적이 없이 지원할 수 있도록 입학 기회확대했다.

* 외국에서 12년 이상의 학교 교육과정을 마친 사람 또는 교육부장관이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학교교육과정에 상응하는 것으로 인정하는 외국의 교육과정 전부를 마친 사람

 

검정고시 출신 지원자는 성적을 100% 반영학교 밖 청소년 등 정규 학제에서 벗어났던 입학예정자에게 직업기술교육 기회가 형평성 있게 주어지도록 개선했다.

 

졸업생 사례

 

입학 전 다양한 배경을 가진 청년들이 졸업 후 곧장 전공한 기술 분야 취업에 성공했다. 신기술 분야 대기업재학 중 조기 취업한 사례도 눈길을 끈다.

 

대구캠퍼스 금형디자인과를 올해 2월 졸업한 정순원(, 30) 씨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자퇴하고 공무원 수험생활을 시작했다. 수험생활 지속을 고민하다 폴리텍을 추천받았다. 사출금형산업기사 등 자격증 3개를 취득하고 기술직 공무원 시험합격했다. 공무원 합격의 길에도 기술이 큰 도움이 됐다.”고 표현했다.

 

광주캠퍼스 자동화시스템과를 졸업한 송해광(, 24) 씨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조리전공하고 바로 호텔에서 근무했다. 함께 근무하던 아르바이트생이 폴리텍 졸업 후 현대제철에 입사하면서 기술공부자격증 취득을 결심했다. 20222월 졸업을 앞두고 재학 중 LG디스플레이합격했다. 폴리텍의 소그룹 멘토링이 취업에 결정적인 도움이 됐다.”라고 설명했다.

 

전남캠퍼스 산업설비자동화과를 졸업한 박용범(, 24) 씨는 일반계고 진학 , 현장체험을 계기로 용접기술자의 꿈을 키웠다. 방향을 정하자마자 특수용접 자격증학위 취득이 가능한 폴리텍 입학을 결심했다. 현재 광주글로벌모터스 차체부에서 다관절 로봇을 조종해 차량 구조물용접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박 씨는 국가 품질명장에 도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반도체융합캠퍼스 반도체품질측정과를 졸업한 이달빛(, 28) 씨는 4년제 대학 역사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전공으로 대학원에 진학한 이 씨는 군 전역 후 복학하지 않고, 기술 분야 취업을 목표로 폴리텍에 입학했다. 정밀측정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고 한전KPS 장비교정 분야근무 중이다. “인문계 대학생들에게도 기술교육을 통한 진로선택 기회가 있다.”고 설명했다.

 

"본 저작물은 고용노동부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