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정보

국립고궁박물관 11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반응형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인규)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11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정해 국립고궁박물관 2층 상설전시장 조선의 국왕실 소개하고, 1031일부터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로 온라인 공개한다.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이미지 제공 문화재청

 

조선왕조실록은 태조부터 철종 대까지 25대에 걸친 472(1392~1863)간 있었던 일들을 정리하여 편찬한 국가기록물이다. 실록은 같은 책을 여러 부 만들어 서울의 춘추관, 성주, 충주, 전주의 사고에 나눠 보관했다. 임진왜란(1592) 당시 전주사고본만 남게 되자 이를 바탕으로 실록 4부를 다시 간행하고, 춘추관, 강화도 마니산, 평안도 묘향산, 경상도 태백산, 강원도 오대산의 사고에 분산 봉안했다. 그중 오대산사고본은 1606(선조 39) 무렵 강원도 평창의 오대산사고에 보관하던 실록이다.

 

오대산사고에는 본래 총 788책의 실록이 보관되어 있었으나, 현재 75책만이 남아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75책은성종실록9, 중종실록50, 선조실록15, 효종실록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오대산사고본 중 성종실록중종실록교정쇄본으로 글자 수정·삭제·첨가 등 다양한 교정 부호와 흔적이 남아있어, 실록을 완간하기 직전의 제작과정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참고로 오대산사고본은 2006년 일본에서 환수하여 올해로 15주년이라 이번 공개에 의미가 더욱 크다.

 

전시는 관람인원을 제한하지 않지만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가운데 진행된. 또한,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gogung.go.kr)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에서 국·영문 자막과 함께 해설영상도 공개한다.

 

"본 저작물은 문화재청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