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대승기신론소 권하(大乘起信論疏 卷下)」를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하였다.
대구 용문사 소장 보물 「대승기신론소 권하(大乘起信論疏 卷下)」는 당나라 승려 법장(法藏, 643~712)이 저술한 총 3권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1461년(세조 7)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만든 목판으로 찍은 불경 중 권하(卷下)에 해당하는 1책(33장)이다.
*대승기신론소: 인도 승려 마명(馬鳴)이 짓고 양나라의 진제(眞諦, 499∼569)가 한문으로 번역한 대승기신론 을 법장이 주석을 달고 저술한 불교경전. 우리나라에서는 『금강경』,『원각경』,『능엄경』 등과 함께 불교전문강원의 사교과(四敎科) 과목으로 예로부터 학습됐던 주요 경전임
조선 시대에 간행된 법장의 '대승기신론소'는 1457년(세조 3)년에 간행된 초주갑인자본(初鑄甲寅字本, 갑인자로 찍은 금속활자본)과 1528년(중종 23), 1572년(선조 5)에 중간(重刊)된 목판본 등이 있으나, 1461년에 간행된 사례로는 용문사 소장본이 유일하다.
조선 시대 '대승기신론' 주석의 내용과 간행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자 지금까지 알려진 유일본으로서 불교학, 서지학적 가치가 크므로 보물로 지정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연구ㆍ관리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저작물은 문화재청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문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21개 국립공원 해넘이·해맞이 행사 전면 금지 (0) | 2021.12.26 |
---|---|
국립중앙과학관 '호모 사피엔스 : 진화∞관계&미래?'특별전 / '21.12.28~'22.3.27 (0) | 2021.12.26 |
‘무예제보’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0) | 2021.12.22 |
2021 '한국관광의 별' 6개 분야 8개 선정 (0) | 2021.12.21 |
'갯벌어로' 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 지정 (0) | 2021.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