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정보

세계적 희귀식물 '날개골무꽃' 서귀포에서 발견

반응형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지난해 한 해 동안 수행한 미개척 생육지 대상 관속식물 탐색 발굴사업을 통해 제주도 서귀포에서 세계적인 희귀식물인 ‘날개골무꽃’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최근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했다고 밝혔다.

 

꿀풀과에 속하는 날개골무꽃은 골무꽃속(Scutellaria) 식물들과 다르게 씨앗에 날개가 있어 국명에 날개라는 말이 부여됐다.

 

여러해살이 식물로 매년 3월 말에서 5월 사이에 꽃을 피우고, 잎은 엷은 보라색을 띠는 하얀색이다. 6월에 열매가 익고 0.5mm 크기의 날개가 달린 작은 씨앗이 생긴다.

 

날개골무꽃 / 사진제공 환경부

 

□ 날개골무꽃(Scutellaria guilielmii A. Gray)

❍ (국외 분포) 중국, 일본

❍ (특징) 골무꽃속의 다른 종에 비해 종자에 날개가 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화서는 꽃이 상부 엽액에 1개씩 달리는 형태이고, 3월 말∼에서 5월 사이에 핀다. 화관은 보라색을 띠는 하얀색이며, 바깥쪽 면에 털이 산생한다. 열매는 6월에 익는다.

❍ (국내 분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해안가 일대

 

우리나라에서 미기록종이던 날개골무꽃은 지금까지 일본 해안지역과 중국 해안 및 내륙 일부 지역에서만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던 종으로, 서귀포 해안가 일대에서 200개체가 이번에 처음으로 확인된 것이다.

 

이 종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포함됐으며, 특히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일본에서는 절멸 위기에 직면한 취약종(VU)으로 등재됐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서귀포에서 발견된 날개골무꽃이 해안 지역 한 곳에서만 발견되었기 때문에 적극적인 보호와 함께 서남해 등 다른 지역에도 생육지가 있을지 추가로 조사할 계획이다.

 

구연봉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장은 ·미기록종 발굴 가능성이 높은 핵심지역이라 볼 수 있는 제주도와 서남해 섬 지역 등에 대한 정밀 조사를 통해 추가적인 종 발굴과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본 저작물은 환경부에서 '2022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