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지난해 한 해 동안 수행한 ‘미개척 생육지 대상 관속식물 탐색 발굴’ 사업을 통해 제주도 서귀포에서 세계적인 희귀식물인 ‘날개골무꽃’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최근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했다고 밝혔다.
○ 꿀풀과에 속하는 날개골무꽃은 골무꽃속(Scutellaria) 식물들과 다르게 씨앗에 날개가 있어 국명에 날개라는 말이 부여됐다.
○ 여러해살이 식물로 매년 3월 말에서 5월 사이에 꽃을 피우고, 꽃잎은 엷은 보라색을 띠는 하얀색이다. 6월에 열매가 익고 0.5mm 크기의 날개가 달린 작은 씨앗이 생긴다.
□ 날개골무꽃(Scutellaria guilielmii A. Gray)
❍ (국외 분포) 중국, 일본
❍ (특징) 골무꽃속의 다른 종에 비해 종자에 날개가 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화서는 꽃이 상부 엽액에 1개씩 달리는 형태이고, 3월 말∼에서 5월 사이에 핀다. 화관은 보라색을 띠는 하얀색이며, 바깥쪽 면에 털이 산생한다. 열매는 6월에 익는다.
❍ (국내 분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해안가 일대
□ 우리나라에서 미기록종이던 날개골무꽃은 지금까지 일본 해안지역과 중국 해안 및 내륙 일부 지역에서만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던 종으로, 서귀포 해안가 일대에서 200여 개체가 이번에 처음으로 확인된 것이다.
○ 이 종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포함됐으며, 특히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일본에서는 절멸 위기에 직면한 취약종(VU)으로 등재됐다.
□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서귀포에서 발견된 날개골무꽃이 해안 지역 한 곳에서만 발견되었기 때문에 적극적인 보호와 함께 서남해 등 다른 지역에도 생육지가 있을지 추가로 조사할 계획이다.
□ 구연봉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장은 “신종·미기록종 발굴 가능성이 높은 핵심지역이라 볼 수 있는 제주도와 서남해 섬 지역 등에 대한 정밀 조사를 통해 추가적인 종 발굴과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본 저작물은 환경부에서 '2022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문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원산 휴양림, 금요일 및 공휴일 전일 요금 인하 (0) | 2022.02.02 |
---|---|
경남 고성 '마동호' 국가 내륙습지보호지역 지정 (0) | 2022.02.02 |
국립고궁박물관 1월 큐레이터 추천 왕실유물 '인검(寅劒)' 공개 (0) | 2022.01.03 |
해시계 '앙부일구' 보물 지정 예고 (0) | 2021.12.30 |
전국 21개 국립공원 해넘이·해맞이 행사 전면 금지 (0) | 2021.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