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낙연 국무총리는 3.18.(월)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방한 중인 시알라(Mohamed Taha Siala) 리비아 외교장관을 접견하고, △양국간 협력방향 △우리 국민 피랍사건 △한국기업 복귀문제 등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 이 총리는 한국기업들이 리비아 대수로 공사를 포함하여 물 및 전기 공급 등 인프라 구축을 통해 리비아 경제건설에 적극 동참한 경험이 있다고 강조하면서, 앞으로 한국기업들이 리비아 재건과정에도 참여해 리비아의 경제회복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했습니다.
ㅇ 이어 주리비아 한국대사관이 교대근무 형식으로 사실상 트리폴리에 복귀 하였다고 하면서, 피랍 한국인이 석방되는 대로 리비아와 전면적인 외교 및 경제협력을 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하루빨리 양국간 협력관계가 완전히 복원되기를 희망했습니다.
□ 시알라 외교장관은 한국기업의 뛰어난 업무수행능력을 잘 알고 있으며 한국기업에 대해 신뢰감을 갖고 있다고 하면서,
ㅇ 한국기업이 조속히 리비아로 복귀하는 한편, 교통, 통신, 철도, 지하철 등 신사업분야에서도 한국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의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ㅇ 이어 양국간에 진행중인 기업인 및 의회 교류, 이중과세방지협정, 외교관․관용여권 비자면제협정 등 협력의 제도화 진전사항을 설명하고, 리비아가 한국의 에너지 수급 안정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고 했습니다.
□ 이 총리는 피랍 한국인의 조속한 석방을 위한 리비아 정부의 노력에 사의를 표하고, 피랍된 우리 국민이 하루 빨리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리비아 정부가 최선의 노력을 지속하여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ㅇ 시알라 외교장관은 리비아 정부가 피랍 건에 큰 관심을 갖고 노력중이며 동 건으로 인해 양국관계가 손상 받지 않기 바란다고 하면서, 피랍 건이 조속 해결되어 그 소식을 하루라도 빨리 알려드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습니다.
ㅁ 리비아 약황
【 일반사항 】
o 수도 : 트리폴리(Tripoli)
o 인구 : 약 630만명(2019,EIU)
o 면적 : 1,759,540㎢(한반도의 8배)
o 민족구성 : 아랍인, 베르베르인
o 언어 : 아랍어
o 종교 : 이슬람교(순니파)
o 독립 : 1951.12.24(이탈리아에서 독립)
【 정치 현황 】
o 정부형태 : 임시정부(온건이슬람주의를 표방), 향후 헌법 및 정치체제 확정 예정
o 주요인사
- 총리 : Fayez Mustafa al-Sarraj
【 경제 현황(19.1월) 】
o GDP(EIU) : 512억불(명목)
o 1인당 GDP(IMF,EIU) : 6,639불(명목), 18,618불(PPP)
o 경제성장률(EIU) : 7.4%
o 교역규모(EIU)
- 수출 : 252억불
- 수입 : 128억불
o 화 폐(EIU) : Libyan Dinar/1US$=1.38LYD
o 주요자원(2017,BP)
- 원 유 : 484억 배럴(세계10위, 점유율:2.9%)
- 천연가스 : 1.4조㎥(세계20위, 점유율:0.7%)
【 우리나라와의 관계 】
o 수교일자 : 1980.12.29
o 공관현황
- 우리측 : 상주 공관(81.03), 김영채대사 부임(15.4),
주리비아대사관철수(19.1, 별도사무소 교대근무),
최성수특명전권대사 부임(18.1)
- 리비아 : 상주 공관(81.11), 주한경제협력대표부로 변경(07.10), 대사관으로 승격(12.6), Otman S. Saad Ahbara 대사 부임(14.4.28), Ahmend M.A. Tabuli 대사대리(19.1 부임)
o 수출입현황(19.1월, 한국무역협회)
- 수출 : 4억3천만불(자동차,연초류,축전지)
- 수입 : 3억3백만불 (원유,어류,알루미늄괴스크랩등)
o 건설수주실적(19.1월,누적,해외건설협회): 368억불(303건)
o 투자 및 기업진출현황(19.1월,누계,신고기준)
- 한국→對리비아: 3.6억불(109건,한국수출입은행)
- 리비아→對한국: 16백만불(188건,산업통상자원부)
【 주요 협정 】
o 99.09 문화협정(*미발효)
o 01.04 경제·과학·기술협력협정
o 07.02 무역협정
o 07.03 투자증진 및 보호협정
※ 09.08 이중과세방지협정 가서명 완료
【 북한과의 관계 】
o 74.1.30 수교
- 주리비아 대사관 설치 : 74.08
- 주북한 대사관 설치 : 81.10
o 92년 유엔제재 이후 대북한 무기거래 중지 및 북한 군사요원 대부분 철수, 특히 03.12 리비아의 WMD 프로그램 포기 선언 이후 양국 실질협력관계 대폭 축소
o 06.06 북한대표단(단장 : 대외무역부장) 방문
o 10.06 북한 김형준 외무성 부상 방문
【 최근 정세 】
o 11.2.15. (시민혁명기념일) 동북부 벵가지에서 반정부 시위발생 이후 전국적으로 급속확산
o 11.3.17, UN 안보리결의 1973호 채택 이후 다국적군의 대리비아 공습 개시
o 11.8.22, 혁명군 트리폴리 함락, 10.20(목) 카다피 Sirte에서 혁명군에게 사살, 10.23(일) Jalil NTC 위원장 리비아 해방 선언, 10.31(월) NATO의 군사작전종료 등으로 사태종료, NTC는 Keib 신임 총리 선출 및 임시정부 수립, 11.22(화) NTC, 제1차 과도내각 선임
o 12.7.7(토) 국민회의(General National Congress) 선거를 통해 200명의 의원 선출(120 개인자격, 80 비례)
o 12.8.8(수) 리비아 권력이 NTC에서 GNC로 공식 이양, 8.9(목) Mohammed Magarief 국민회의 의장(원수 역할)으로 선출-> ‘13.5.28 자진 사임
o 14.5.5 GNC는 Ahmed Maetig('72년생, 사업가, 이슬람주의)를 신임 총리로 선출하였으나, 6.9 최고법원 동인의 임명 위헌 판결(Al-thinni 국방장관 총리 대행)
o 14.6.25 제2차 의회 총선(200석) 실시 ⇒ 14.7.21 1차 총선결과, 188석 선출 이 중 이슬람 세력 30석 미만 확보로 참패
o 14.7.13 트리폴리 공항을 두고 미스타라 민병대와 진탄민병대간 교전 악화로 14.7.25전후 대부분 외국 공관 철수
o 14.7.31 이슬람 세력 벵가지 장악, 14.8.23 트리폴리 장악
o 新의회(8.4) 출범 불구, 2개 정부 및 의회 양립(이슬람 세력 vs. 세속주의 세력) 등 치안 불안정 및 정치적 전환과정 지연
o UN주도 정치대화를 통해 정치합의안 가서명(15.7.11) 및 통합정부 구성 논의 진행중
o 2018.5월 파리 공동성명 채택(리비아 제 정파간 총선, 대선 등 정치 프로세스에 원칙적 합의)
o 2018.11월 팔레르모 회의(2019년 상반기 중 국민회의 개최, 하반기 중 총선 및 대선 개최에 합의/ 단, 상금 개최여부 불투명)
"본 저작물은 국무조정실에서 '2019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시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붙박이장 등 친환경 건축자재 성능·안전성 점검 (0) | 2019.03.29 |
---|---|
제100회 전국체육대회·제39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홈페이지 오픈 (0) | 2019.03.27 |
사립유치원 에듀파인 1단계 의무도입 99.6% (0) | 2019.03.18 |
서울시 정무부시장에 김원이 現 교육부장관 정책보좌관 내정 (0) | 2019.03.17 |
채탱앱악용 청소년성매매 20명 적발 (0) | 2019.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