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12일(금) 오전 10시, 류인석선생 유적지에서 개최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의암 류인석 선생 순국 104주년을 맞아 항일독립운동에 헌신하신 선생을 기리는 「제35회 의암제」가 4월 12일과 13일 이틀 간 의암 류인석 선생 유적지(강원도 춘천시 남면) 등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 춘천문화원(원장 윤용선)이 주최하고 의암제위원회에서 주관하며 국가보훈처에서 후원하는 금년 의암제는 류인석 선생 순국 104주년을 맞아 선생의 숭고한 정신을 이어받아 국민의 나라사랑 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들이 진행된다.
□ 4월 12일에는 공식행사인 의암제례를 비롯해 의암 선생 순국 104주년을 기념하는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된다. ‘전국 휘호대회’와 ‘한글 백일장’, ‘학생 사생대회’ 등 시민과 학생이 참여하는 행사와 함께, ‘의병 주먹밥 시식’과 ‘의병주 체험’ 등의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 또한 4월 13일에는 의병들의 발자취를 되새기는 ‘의암 순례길 걷기대회’가 구곡폭포를 출발해 의암 유적지로 이어지는 11Km 코스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일 자 | 구분 | 행사명 | 시 간 | 내 용 | 주관단체 | ||
부터 | 까지 | 소요 | |||||
4.12 (금) | 식전 행사 | 퍼포먼스 | 09:40 | 09:55 | 15 | ∘3·1운동독립선언서낭독, ∘휘호퍼포먼스 |
|
본 행사 | 의암제례 | 10:00 | 11:10 | 70 | 전통제례의식의 제향 | 춘천향교, 춘천문화원 | |
의암대상 시상 | 11:10 | 11:40 | 30 | ∘학술부문 ∘공로부문 | 강원도, 의암류인석선생 기념사업회 | ||
문예 행사 | 전국휘호 대회 | 10:00 | 12:00 | 60 | 한글, 한문, 문인화 일반인참여(200명) | 춘천문화원 | |
학생휘호 대회 | 10:00 | 12:00 | 60 | 한글, 한문, 문인화 학생(200명) | 강원여류서예가협회 춘천지부 | ||
의암제 한글백일장 | 10:00 | 12:30 | 90 | 시(시조), 산문 학생(200명) | 춘주수필 문학회 | ||
의암제 사생대회 | 10:00 | 13:30 | 210 | 나라사랑/유적지풍경 학생(200명) | 한국미술협회 춘천지부 | ||
체험행사 | 의병주먹밥 체험 | 12:00 | 13:00 | 60 | 의병식량 시식체험 | 춘천의병주 보존회 | |
의병주 체험 | 10:00 | 14:00 | 120 | 의병주 시음 | |||
묘소배례 | 묘소참관자 배례안내 | 의암유적지 | |||||
버튼배지, 손수건만들기 | ∘버튼배지만들기, ∘손수건만들기 | ||||||
전시행사 | 의병초상화전시 | 의병초상화19점 전시 | |||||
4.13 (토) | 걷기 행사 | 의암순례길 걷기 | 09:00 | 15:00 | 300 | 구곡폭포 주차장~문배마을 ~봉화산~미나리폭포 ~가정3리(쟁골)~의암유적지(11km) | (사)문화커뮤니티 금토, 춘천문화원 |
[의암 류인석 선생 공적]
의암 류인석 선생은 1842년 1월 27일, 강원도 춘천시 남면 가정리에서 태어나 항일의병투쟁을 주도한 독립운동가이다.
1896년 2월, 원주 안창의병을 중심으로 영월에서 기의하여 호좌의진 창의대장에 올라 전국에 격문을 보내는 동시에 제천과 충주지역을 중심으로 친일 관찰사를 처단하는 등 을미의병 항쟁을 주도하면서 의기를 떨쳤으나, 일본군과 관군의 반격으로 퇴진하다가 동년 8월 국경지 초산에서 승전한 국내 항일 의병전을 끝으로 서간도로 망명하여 국내를 넘나들면서 강화활동과 향약운동 등 구국운동을 전개하였다.
1908년 연해주로 건너 간 선생은 1910년 6월 연해주 의병 세력의 통합체인 13도의군(十三道義軍) 도총재(都總裁)로 추대되었으나,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기도 전에 동년 8월 일제에 의해 국권이 침탈당하였다. 이에 선생은 성명회(聲明會)를 결성하여 국내ㆍ외에 ‘선언서’를 선포하여 한민족의 독립 결의를 천명하는 동시에 국제적인 지지를 호소하는 등 국권 회복에 진력하였다.
이후 동ㆍ서양의 문물제도 등을 문답체로 논술한 <우주문답>을 저술하고 친인척과 사우들이 망명한 서간도로 이동하여 조국 광복을 염원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1915년 1월 29일 74세를 일기로 순국하였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본 저작물은 국가보훈처에서 '2019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시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세대소형위성1호 초기운영을 마치고 본격 임무 수행 (0) | 2019.04.16 |
---|---|
시설물 안전등급 D등급 이하인 경우 재건축안전진단 없이 사업추진 가능 (0) | 2019.04.16 |
아파트 보수공사, 경기도에서 자문받으세요! (0) | 2019.04.06 |
아나볼릭스테로이드 불법 유통, 판매자 적발 (0) | 2019.04.04 |
봄철 지역축제 안전사고 주의 (0) | 2019.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