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89)
2022년 제12회 화성 뱃놀이 축제 / 9.16(금)~9.18(일) 2022년 제12회 화성 뱃놀이 축제 ■ 장소 : 화성시 전곡항 및 제부도 일원 ■ 일시 : 2022년 9월 16일(금) ~ 9월 18일(일) ■ 프로그램 : 바람의 사신단 (댄스 퍼레이드), 전곡행요트(승선), 풍류단의 항해(해상공연), 천해(天海) 유람단 (승선 및 케이블카), 뱃놀이 라이브 스튜디오, Zoom in 버스킹, 공중공연, 드론 라이트 쇼, 어촌마을체험, 마린 플로깅, 미디어실감전관, 낭만피크닉, 마린공공예술 등 ■ 주최 : 화성시 ■ 주관 : (재)화성시문화재단 "본 저작물은 화성시'에서 '2022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제12회 화성 뱃놀이 축제 공고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화성시청 홈페이지 www.hscity.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2년 제3회 조선왕릉문화제 / 9개 왕릉(9.24~10.16) 및 전주 경기전(10.22~23)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정성조)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조선왕릉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제3회 조선왕릉문화제를 9월 24일부터 10월 16일까지 9개 왕릉(동구릉, 홍유릉, 선정릉, 서오릉, 융건릉, 세종대왕릉, 태강릉, 헌인릉, 의릉)과, 10월 22일부터 23일까지 전주 경기전에서 개최한다. 제3회 조선왕릉문화제의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로 진행되며, 일부 프로그램은 조선왕릉문화제 공식 누리집(jrtf.or.kr)을 통해 사전예약제로 운영한다. 각 프로그램별 참여 방법 및 예약일정 등 상세한 내용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선왕릉문화제 프로그램 소개] ▶개막식 태릉 9.23.(금) 20:00~20:50 조선왕릉문화제의 시작을 알리는 개막선언에 이어 융복합 콘..
2022년 9월 4일(일)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 취소 □ 서울시 한강사업본부는 제11호 태풍 ‘힌남노’ 북상 영향으로 이번 주 9월 4일(일) 「차 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를 취소한다고 밝혔다. □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북상함에 따라 한강홍수통제소에서는 충주댐 방류량을 9월 3일(토) 15시부터 최대 3,000㎥/s 방류를 승인했다. 이에 따라 9월 4일(일) 오전이면 잠수교 수위가 보행자 통제 수위인 5.5m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번 행사를 취소하기로 결정하였다. ※ 잠수교 수위는 팔당댐 방류량 및 서해안 조위에 따라 변동되나, 평상시 팔당댐 방류량 4,000㎥/s 방류시 보행자 통제 수위에 도달됨. □ 당초 9월 4일(일) 개최 예정이던 「2022 한강 멍때리기 대회」는 9월 18(일)로 연기하여 시행될 예정이다. "본 저작물은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8월26일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하였다. 보물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1405년(태종 5) 음력 3월 하순 안심사(安心寺)에서 조성한 불교경판을 후대에 인쇄하여 펴낸 경전으로서, 7권 2책으로 구성된 완질본이다. 동일 경판에서 인쇄하여 펴낸 판본 중 이미 보물로 지정된 자료와 비교할 때 시주자와 간행정보가 모두 확인된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크며, 특히 이 중 권1~3은 매우 희소한 권차라는 점에서 자료적인 완전성이 높다. * 완질본 : 한 질을 이루고 있는 책에서 권책(券册) 수가 완전하게 갖추어진 책 청도 도연사 소장 ‘묘법연화경’은 조선 초기 불경 출판인쇄 경향과 각수의 변상도(變相圖) 제작 수준, 고려 말〜조선 초 불교사상의 ..
'금동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8월26일 「금동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金銅阿彌陀如來三尊像 및 腹藏遺物)」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하였다. 보물 「금동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金銅阿彌陀如來三尊像 및 腹藏遺物)」은 복장발원문을 통해 1333년(충숙왕 2)에 조성된 사실이 밝혀진 불상으로, 본존 아미타여래상과 좌우 협시인 관음보살(觀音菩薩),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로 구성되었다. 고려 14세기 삼존상의 전형적인 특징을 갖추었으며 제작연대의 기준이 되는 양식을 지닌 점에서 한국불교조각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협시(脇侍) : 부처를 좌우에서 모시는 두 보살 발원문을 통해 이 삼존상은 시주자인 장현(張鉉)과 그의 처 선씨(宣氏), 김진(金稹), 이겸(李謙) 등이 발원자로서 제작에 참..
'건칠보살좌상'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8월26일 「건칠보살좌상」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하였다. 보물 「건칠보살좌상(乾漆菩薩坐像)」은 고려 말〜조선 초에 제작된 보살상으로, 머리에 보석으로 꾸민 화려한 관을 쓰고 두 손은 설법인(說法印)을 결한 좌상이다. 제작기법은 건칠(乾漆)로서, 건칠은 흙으로 빚은 형상을 만든 뒤 그 위에 여러 겹의 천을 바르고 옻칠한 다음 소조상을 제거한 기법을 말한다. * 설법인(說法印) : 불교의 교의(敎義)를 들려주는 설법할 때의 손 모양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건칠불상은 ▲ 신라 말~고려 초 제작으로 추정되는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이며, 그 다음으로 ▲ 10세기 초 제작으로 추정되는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으로 알려져 있다. 현존하는 건칠불 사례는 ..
조선왕실 태실 그림 '장조 태봉도' 등 3건 보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8월26일 ‘장조 태봉도’ 등 유례가 드문 조선왕실 태실 관련 그림 3점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하였다. * 태실 : 왕실의 자손이 태어날 때 태(胎)를 봉안해 보관한 곳 이번에 조선왕실 태실과 관련한 그림으로 지정한 태봉도는 「장조 태봉도(莊祖 胎封圖)」, 「순조 태봉도(純祖 胎封圖)」, 「헌종 태봉도(憲宗 胎封圖)」등 3건이다. 보물 「장조 태봉도」는 1785년(정조 9) 정조(正祖)의 아버지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1762, 후에 장조로 추존)의 태실(胎室)과 주변 풍경을 그린 것이다. 장조의 태실은 1735년 출생 후 경상북도 예천군 명봉사(鳴鳳寺) 뒤편에 마련되었으며, 1785년 사도세자로 추존됨에 따라 난간석(欄干石)과 비석 등 석물이 추가로 배치되었다. *..
광화문광장 지하에서 만나는 세종‧충무공 이야기 □ 이달 초 재개장한 광화문광장 지하에 우리 역사의 위대한 성군인 세종대왕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삶과 일대기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거대한 전시공간이 있다. 광화문광장 지하부터 세종문화회관 지하 2층에 이르기까지 총면적 4,222㎡(세종 2,522㎡, 충무공 1,700㎡)에 달하는 다. □ 는 2009년 오세훈 시장 재임 당시 광화문광장을 조성하면서 만든 상설 역사전시관이다. 최근 광화문광장 개장에 맞춰 일부 시설과 콘텐츠를 보강해 더 많은 시민들을 맞이하게 되었다. ○ ‘세종이야기’는 2009년 10월 9일 한글날에, ‘충무공이야기’는 2010년 4월 28일 충무공탄신일에 개관했다. ○ 이번 광화문광장 개장을 맞아 기존 유휴공간을 교육실로 변경하고 전시관 내에 분산되어 있던 ..

반응형